Recently Updated Pages
Testing GitOps Pattern for Multi Cluster Env
Github 링크: https://github.com/Waji-97/ArgoCD-Test ArgoCD Spelix 링크: http://waji.spelix.co.kr/ ...
[삼성리서치] wd 개발 서버 rabbitmq pod 재시작 불가 에러
# 증상 - wd 개발 서버에 인덱싱 안되어 rabbitmq pod 재시작 - rabbitmq pod 2개중 1개 재시작 불가 # 원인 - wd 개발 서버 리스...
[서울대병원] wd api 사용 중 "502 Bad Gateway" 에러 발생
# 증상 - wd analyzer api 사용 중 "502 Bad Gateway" 에러 발생 # 원인 - 리눅스 named 서비스 종료 됨 (리눅스 로그상 1/1...
VM 인스턴스 실행 불가능 ESXi/ESX error: No free space left on device
# 조치 내용 VMware firmware (OS) Update: 보안 패치 및 안정성, 버그 수정 등 23년 1월 정기 패치 팩 각 VM에 sched.swap...
USB 장치에 VMFS를 만들어 ESXi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 USB를 호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변경 ESXi 시스템에 USB 장치가 연결 되면 ESXi는 이걸 VM에서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인식한다. 때문에 호스트인 ...
Database Replication
MHA(Master High Availability)란, Master DB가 장애로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failover를 수행하여 slave DB를 ma...
Bastion에서 Kubectl 쓰기 (수정 중)
References: Installting Kubectl: https://kubernetes.io/docs/tasks/tools/ curl -LO https://dl....
KoPylot
An AI-powered assistant for Kubernetes The blog: https://medium.com/@thiagoalves/introducing-kop...
Kubesphere 클러스터 설치
작업 환경 💡 RockyKVM에서 실습 진행 . 총 사용한 VM들의 목록과 사양은: 노드 OS IP CPU Memory Volume Extra V...
OpenShift 설치
SSH Issue Files for installation pre-installation.tar roles Installation Steps: Firstly, g...
kubectl 자동 완성 (수정 중)
쿠버네티스의 자동 완성 기능은 긴 쿠버네티스 리소스 이름을 자동 완성 시킬때 꽤 유용 하다. 자세한 정보는 k8s 자동완성 설정 먼저 type _init_compl...
노드 관리
쿠버네티스에서 노드는 클러스터의 실행 환경으로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물리적인 또는 가상의 서버이다. 노드 관리는 클러스터의 성능, 안정성 및 가용성을 유지하는...
네임스페이스 오브젝트
Namespace 네임스페이스는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을 논리적으로 묶어주는 오브젝트다. 패키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시: apiVersion: v1 kind: Nam...
리소스 관리
라벨링과 애노테이션
클러스터 생성 및 설정 (Kubespray)
이번 데모에서는 한 물리 서버에, 가상 머신 4대를 사용하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할 예정이다. 💡 현재 VMWare Workstation에서 실습 진행 Cont...
KubeSphere Namespace 삭제
KubeSphere Web UI를 통해 Namespace 삭제 작업 순서 Kubesphere에서는 Namespace 단위를 Project라고 부른다. 일반 적으로 Kube...
ETCD
ContainerD vs Docker
[30] Network Policy
쉽게 말하면 Pod에 대한 방화벽을 설정해주는 것이다. ❓Network Policy with Namespaces Create a new Network Policy na...
[29] Kube-DNS
Kube-DNS란? Kube-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K8s 클러스터 내부의 다른 리소스(서비스, Pod 등)를 도메인 이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