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ISCO ME3400 Reset

CISCO ME3400은 중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이더넷 스위치다. 이 시리즈는 두 가지 Cisco IOS Software 기능 이미지를 제공한다. METROACCESS 이미지는 고급 서비스 품질(QoS), 속도 제한, 강력한 멀티캐스트 제어 및 포괄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METROACCESS 이미지에는 802.1Q 터널링, L2PT(계층 2 프로토콜 터널링) 및 Flexlink를 비롯한 다양한 캐리어 이더넷 액세스 기능 세트가 포함되어 있다. METROIPACCESS 이미지는 고급 IP 라우팅 프로토콜, Multi-VPN Routing and Forwarding Customer Edge(Multi-VRF CE), 정책 기반 라우팅(PBR) 지원과 같은 고급 레이어 3 기능을 추가한다. 

사무실에 있는 ME3400 스위치의 정확한 모델 번호는 ME-3400-24TS-A이다. CISCO 공식 페이지에서 모델을 검색 해보면 이제 스위치를 지원 하지 않는다고 나온다. 그래서 새로운 펌웨어 업데이트나 다른 지원이 공식 적으로 안된다. 

image.png

일단 현재 사무실에 있는 3400 장비를 Reset및 업데이트 해야 된다. Reset을 하기 위해 장비의 Console 화면 (CISCO CLI)에 접속 해야 된다. 장비마다 다를 수 있지만 보통 CISCO 장비들은 사진에 보이는 것 와 같이 앞에 아니면 뒤에 이렇게 "Console"이라고 적혀 있다.

image.png


콘솔 포트와 노트북의 Serial 포트에 연결 해서 바로 CISCO장비의 Console CLI에 접속 가능 하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은 아래 사진을 참고 한다.

image.png


일단 콘솔 포트와 노트북을 연결 후 XSHELL 또는 PuTTY를 사용하여 COM3-5 중 COM port를 통해 Switch의 CLI와 접속 할 수 있다. Switch와 연결된 COM 포트 정보를 확인 하기 위해서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를 열어 보면 된다.

image.png

보통은 COM3로 Switch 장비가 연결 되지만, 가끔 COM5으로 연결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케이블 연결 후 한번 확인 하는 걸 추천 한다. 근데 여기서 만약에 중요 콘솔 용 드라이버가 설치 되지 않았으면 아래 사진과 같이 "알 수 없는 장치" 라고 보인다

image.png

이런 상황에서는 여기 링크에 있는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은 후 설치 한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아래 사진과 같이 USB to RJ45 케이블로 CISCO장비와 연결 시 다른 하나의 드라이버를 추가로 설치 해야 된다. RJ45 to USB 드라이버 링크


image.png

아래 참고 사진은 드라이버 설치 및 콘솔 포트 와 연결 상태 확인 후 XSHELL에서의 접속 설정이다:

image.png

image.png


COM5포트 연결 되어 있다는 걸 확인 후 Baud Rate를 9600으로 설정 한다.

바우드(Baud) 비트레이트는 데이터 통신에서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측정 단위이다. 바우드 비트레이트는 초당 전송되는 신호나 Symbol의 수를 나타낸다.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데이터 통신 장치 간의 통신 속도를 일치 시키는 데 사용된다.

9600 바우드는 통신 장치 간의 일반적인 표준 속도 중 하나다. 많은 장치 및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9600 바우드를 기본 속도로 지원하며, 이는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선택이다. 

설정 확인 후 연결 Switch 장비와 연결 한다. 아무 문제가 없을 시 Switch CISCO장비의 CLI로 접속이 완료 될 거고, 완전이 새로운 상태라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온다

image.png

하지만 현재는 Switch에 이미 몇 가지 설정이 되어 있는 걸로 보인다. 이미 입구 부터 Username과 암호를 요구 한다. 

image.png

이제 이 Switch를 리셋 및 펌웨어 업데이트 작업을 실행 하겠다.  먼저 Reset을 해야 Switch안을 들어 갈 수 있으니, Reset부터 하겠다.

Switch를 리셋 하기 위해, Switch의 ROMMON(ROM Monitor mode)으로 부팅을 해야 한다. 줄임말로 ROMMON모드는, 스위치가 부팅할 때 기동 되는 소프트웨어이다. ROMMON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제일 먼저 Switch를 재 시작 한다. 재 시작 시 노트북은 계속 Switch과 연결 상태이어야 한다. 재 시작 하는 동안 계속 키보드에 있는 'Break' 키를 연속으로 눌러야 만 ROMMON 모드로 접속이 가능하다. Break키가 잘 입력 되었으면 이 화면을 볼 수 있다.

image.png

가끔 Break 버튼이 키보드에 없거나 터미널에 인식이 안될 경우가 있다. 이때는 다른 Break 버튼이 존재하는 키보드를 가져오거나, PuTTY나 TeraTerm같은 'Send Break' 옵션이 존재하는 터미널을 사용 해도 된다.

Tera Term의 예시: 

image.png

이렇게 까지 해도 안될 때는 케이블 문제다. 자세한 이유는 아직 안 나와 있으나 일단 USB to RJ45 케이블로 Switch와 연결 시 ROMMON 모드로 연결이 안될 경우가 많다. 그래서 RJ45-DB9-RS232-USB 케이블을 사용 하는 것을 권장 한다.

이제 ROMMON모드에서 flash_init이라는 명령어를 사용 한다. ROMMON 모드에서 flash_init 명령은 스위치의 플래시 메모리를 초기화하고 인식하는 데 사용된다. 이 명령어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플래시에 저장된 이미지나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flash_init 명령어 후 다음 명령어들을 차대로 입력 한다

del flash:config.text
del flash:vlan.dat
boot
  • del flash:config.text 명령어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config.text"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config.text" 파일은 스위치의 설정 정보가 저장된 파일로, 이 명령을 사용하여 해당 설정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 del flash:vlan.dat  명려어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vlan.dat"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이다. "vlan.dat" 파일은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정보가 저장된 파일로, 이 명령을 사용하여 해당 VLAN 정보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렇게 config 파일과 vlan 파일들을 삭제 하게 되면, Switch는 기본 Factory 설정으로 돌아 간다. 마지막에 있는 Boot 명령어로 스위치가 재 시작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