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le Labeling & Management
케이블링 과 레이블링에 대한 기본 적인 규칙 및 방향에 대해서 나열 해 보았다.
-
테이프 대신 실제 라벨 사용하기. 실제 레이블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레이블링하는 것이 전반 적으로 좋다. 테이프 대신에 실제 레이블을 사용하면 더 오래 지속되며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테이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질 수 있으며, 노후화 되고 훼손될 수 있다.
-
인쇄하여 글자를 표시하고, 필기는 피하자! 필기로 레이블을 작성하는 대신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레이블에 글자를 표시한다. 필기로 작성된 레이블은 해석하기 어렵고 글자가 모호해질 수 있다. 인쇄된 레이블은 보다 명확하고 읽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여 케이블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
각 장치에 고유하고 가독성 있는 레이블링 (예: DAL-CORE-SWITCH-05) 각 장치에는 고유하고 가독성 있는 ID를 부여하여 레이블링 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각 장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장치 ID는 해당 장치의 위치, 랙 및 포트 세부 정보 등과 함께 중요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
레이블이 모두 한 곳에 모여있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기. 레이블을 모두 한 곳에 몰아두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레이블이 한 곳에 몰리지 않고 전체적으로 분산 되어 있게 된다. 이는 시각적으로 레이블을 찾기 쉽게 하며, 특정 구역에 과도한 밀집을 방지한다.
-
폰트는 안경이 필요 없는 사람도 읽을 수 있도록 가독성 있게 설정하기. 폰트는 가독성이 좋도록 설정한다. 폰트 크기와 스타일을 조정하여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양쪽 끝에 정보가 인쇄된 랩 레이블을 사용하여 양쪽 끝을 레이블링한다. 케이블은 양쪽 끝에 명확하게 레이블을 부착해야 한다. 각 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의 양쪽 끝에는 양쪽 장치에 대한 정보가 인쇄된 랩 레이블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양쪽 장치의 식별과 문제 해결이 용이해진다.
-
"한눈에 다 보여야 된다" 케이블 관리를 위해 레이블을 붙일 때, "한눈에 다 보여야 된다"는 원칙을 따라야 된다. 레이블은 명확하게 보이고 읽기 쉬워야 하며,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서로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케이블을 분리한다. 다른 종류의 케이블 묶음을 혼합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케이블은 분리하여 유지 한다. 각 유형의 케이블을 따로 묶어서 구분함으로써 혼선을 방지하고 케이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
플라스틱 타이로 케이블을 너무 단단하게 조이지 말기. 플라스틱 타이로 케이블을 과도하게 조이지 않는다. 케이블을 너무 단단하게 조이면 케이블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적절한 조임으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 한다.
-
전원 케이블과 이더넷 케이블은 최대한 분리하여 사용한다. 전원 케이블과 이더넷 케이블은 최대한 분리하여 사용 한다. 이 두 가지를 격리하여 사용하면 전기 장애나 잡음으로부터 네트워크 신호를 보호할 수 있다.
레이블링 되어 있는 좋은 예시 들:
케이블링이 잘 되어 있는 예시들:
랙 사이즈 및 형태 마다 정리 하는 방법 과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아직 적용 하지는 않았지만 미래에 적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대비 하여 추가 한다
케이블 관리를 위해 더 좋은 방안 과 도구들이 존재 한다. 그 중 IDC 랙에서 많이 사용 되는 도구를 나열 해 보았다.
케이블 관리자 툴
케이블 관리자 도구는 단순하고 고리를 사용하여 케이블 묶음을 구성 한다. 일부 케이블 관리자는 번들을 숨기고 설치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표지가 있다.
예시:
Patch Panel
패치 패널은 대량의 케이블을 정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데이터 센터, 액세스 또는 배선 장비가 위치한 곳에서 유연한 연결성을 제공 한다. 패치 패널은 케이블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유연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한다. 데이터 센터나 액세스 또는 배선 장비와 같은 장소에서 패치 패널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네트워크 구성에 필요한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패치 패널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케이블 관리와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예시: